전세집 구하기 1편 예산과 위치 선정

2024. 2. 8. 21:35집 구하기

반응형

 

HI~

 

남이 열심히 번 돈을 떼먹으려는 사기꾼이 판을 치는 세상입니다.

제가 아파트 전셋집을 구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전하게 구하는 방법을 작성해 보겠습니다.

- 예산 편성 -

전셋집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산을 확인해봐야 합니다

대부분이 그러하듯 100% 본인 자금으로는 구하기 힘든 시기로 전세를 위한 다양한 대출을 확인해 봐야 하며 금전과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에 최대한 보수적인 시선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대출 확인 진행할 때 은행 아플 별로 대출 가능 금액 조회와 같은 항목이 있는데, 일정한 날짜에 너무 많은 조회를 하면 1 금융권에서 대출을 거부당할수도 있으니 신용 등급이 높더라도 조회는 최대한 지양하시길 바랍니다

 

제일 좋은 건 자신의 주거래 은행 창구를 직접 찾아가 전세 대출 상담을 받는 건데 대부분의 은행들은 KB 부동산 시세를 기준으로 가격을 확인하며 굉장히 구체적으로 어떤 아파트의 몇 층인지까지 확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통 자신의 원천징수를 기준으로 DSR을 확인해 보면 대략적인 대출 가능 금액을 먼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에 관한 포스팅 아래에 첨부드리니 참고 바랍니다

 

https://himyong.tistory.com/4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의 뜻 !

HI ~ 대출 관련하여 하나하나 알아가다 보면 DSR이라는 녀석이 자꾸 눈에 뜨입니다. 부동산 폭등 이후 규제에 관해 위 단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해당 단어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총

himyong.tistory.com

 

 

간혹 은행에서 계약서를 가져와야만 대출 조회를 해준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를 대비해서 대략적인 전셋집의 위치를 생각해 두고"AA 아파트를 생각 중인데 대출 가능 금액이 얼마나 나올지를 몰라서 확인한 뒤에 계약을 하려고 한다"와 같이 미리 예상해두면 좋습니다


전세로 집을 계약한 후에 냉장고, 세탁기, TV,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가구와 인터넷 설치 등 집 외적인 부분에 생각보다 들어가는 돈이 많고, 부동산 복비 또한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예산을 잡을 때 가능한 최대로 보수적인 시선에서 잡아야 하고 본인의 보유자금에서 500~1000만원 정도를 없다고 생각하시고 예산 편성하시면 좋습니다


2. 전셋집 위치 선정

저는 본가에서 살다가 나온 케이스인데, 회사 근처로 와서 통근 시간을 줄이기 위함의 목적성이 뚜렷했고, 읽으시는 모두가 각자의 이유가 있을 것이며 그 이유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게 되니, 굉장히 신중하게 고려해 볼 부분입니다

 

위치를 선정하실 때 원하는 매물이 있는 곳을 2번 정도는 방문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각자의 생활 패턴이나 성격에 따라 다양한 고려 사항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며, 주차 문제 주변 상권이나 편의 시설등을 확인하기 위해 낮과 밤에 각각 한 번씩 방문하셔서 주변 상황을 살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또 근처에 공인중개사가 운영하는 부동산이 있는지도 꼭 확인해 보세요

 

 

3. 네이버 부동산 and KB부동산 확인하기 → (1. 예산 + 2. 위치)

 

  

예시로 네이버 부동산을 통해 우리의 코스피 시총 1위 기업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주변 전세 가격 시세를 확인했습니다

 

네이버 부동산에서 원하는 위치의 매물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 가능하며 평수/층수/리모델링 여부와 같이 다양한 조건에 의해 가격이 변동하기 때문에 표출되는 가격의 폭이 넓습니다


네이버 부동산은 현재 내가 가고자 하는 위치의 전셋집에 대한 대략적인 가격대 확인을 위한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삼성을 다니지 않지만, 만약 삼성을 다닌다면 주변에 어떤 아파트가 괜찮고 어디가 별론지도 알 수 있으니까 주변에 아시는 분이 계신다면 물어봐서 다양한 양질의 정보를 받는다면 선택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이 확인한 다음 마음에 드는 곳이 생겼다면 KB 부동산을 검색하신 뒤에 들어가서 아래 사진과 같이 원하는 매물의 실거래 가격을 확인하면 됩니다

 

 

작성일 기준으로 해당 매물은 25평 기준 전세가 평균 2억 9,500에 거래되고 있네요.

KB부동산을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나중에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할 때 해당 아파트의 실제 매매가격의 90% 이하로 전세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만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고, 보증보험을 시행하는 회사에서는 이 KB 부동산을 통해서 매매가격을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은행에서 진행하는 전세자금대출을 시행할 때 KB시세를 확인하고요.

차후에 전세보증보험은 혹시 모를 불투명한 미래를 지킬 수 있는 좋은 제도이니 꼭 가입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2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