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의 의미

2024. 2. 9. 00:39경제 용어

반응형

 

HI ~

 

대출 관련하여 하나하나 알아가다 보면 DSR이라는 녀석이 자꾸 눈에 뜨입니다.

 

부동산 폭등 이후 규제에 관해 위 단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해당 단어에 대해 하나씩 정리해 보겠습니다.

 

차주의 상환능력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차주가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누어 산출된다. 대출에는 마이너스통장,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자동차할부금융 등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유사한 개념인 총부채상환비율(DTI)과 비교할 때, DTI는 원금상환액 중 주택담보대출 원금상환액만 포함하는 반면, DSR (Debt Service Ratio)은 주택담보대출을 포함한 모든 대출의 원금상환액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정부 및 감독당국은 주택시장 안정화 및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해 2017년 중 LTV, DTI 규제를 강화한 데 이어, 2018년 하반기부터 차주의 부채상환능력을 더욱 포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DSR을 금융기관의 여신심사 과정에서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발표한 이후 DSR 규제 적용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였다.

 

한국은행 홈페이지 경제 용어 사전에 나와있는 DSR에 대한 사전적 정의입니다.

 

그래서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냐!! 

 

마이너스통장, 신용대출, 전세자금대출, 자동차할부금융 등이 모두 포함한 원리금상환부담을 나의 상환능력과 비교한 값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래도 어려워 예시를 가져왔습니다

 

만약 DSR 40%라는 규제가 걸린 지역에 집을 사고 싶은 하이씨가 있고 하이씨 연봉이 1천만 원이라고 한다면 나의 모든 대출을 포함한 나의 원리금상환부담 즉 원금+이자의 상환이 금액이 연 4백만 원을 넘을 수 없다는 걸 의미합니다

 

네이버 DSR 계산

 

 

 

 

연수입 1천만 원 하이씨가 2천만 원의 대출을 35년 동안 5%의 이자로 받을 시 위와 같이 원리금 균등으로 상환한다는 가정하에 월 100,938을 12개월 납입하여 연 1,211,256원으로 DSR 12.11%가 나옵니다.

 

결론 : (연상환금 / 연소득) * 100 = DSR 지수

 

여기서 연소득은 세전 기준이며 근로소득증명서의 원천징수 금액을 보시면 됩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상환 방식에 따라 DSR 수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원금균등 상환의 경우 초기 상환에 있어 약간 부담이 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환 금액이 내려감으로 DSR 계산 시 원리금 균등에 비해 약간 낮은 수치로 계산되며 만기일시는 수치가 올라갑니다.

 

대출 필요 금액에 따라 여러 가지로 고려해서 선택하시면 되며 이 글을 읽으시는 모두가 현명한 선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사실 대출시행한다고 은행 가면 근로소득증명서, 건강보험납부내역등 이것저것 가져오라고 하는데 다 알아서 계산해 주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