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주] 환헤지(환헷지) SOL미국배당다우존스(H) 상품이란?

2024. 3. 3. 19:59ETF

반응형

 

 

HI~

 

지난번에 작성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에 대한 설명을 보시고 증권사에 해당 ETF를 검색하셨다면, SOL미국배당다우존스(H)라고 적힌 상품이 같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H)를 의미하는 환헤지(Hedge)에 대해 작성해 보겠습니다.

 

https://himyong.tistory.com/14

 

[배당주] SOL미국배당다우존스란?

HI~ ISA계좌나 연금저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비과세 혜택 또한 증가했기 때문에 배당 ETF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한국판 SCHD ETF인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TIGER 미국배

himyong.tistory.com

SOL미국배당다우존스에 관해 작성한 글로 한번 읽어보시고 오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환 Hedge(헤지) 상품이란?

Hedge는 명사로 대비책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여기서 대비책이란 여러 가지 의미 중 특히 "금전 손실을 막기 위한" 대비책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앞에 붙는 환은 외한(外換)을 의미하며 외환 거래에 따르는 환율에 의한 변동 위험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환 + Hedge의 의미를 붙여서 "환율에 변동 위험 대한 대비책"이란 말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환헤지(환헷지) 상품의 정의

현재 세계 경제의 기축통화는 달러로 이 달러를 중심으로 원 ↔ 달러 환율은 경제를 관통하는 핵심 요소이며, 환율변동으로 인해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만히 앉은자리에서 크게는 수십, 수억 원의 변동폭이 생깁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율에 대한 리스크를 관리하는 상품을 환헤지 상품이라고 합니다.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의 차이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 환노출형 상품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 환헤지형 상품

 

두 상품 모두 같은 지수를 추종하며 수익률 또한 같을 것이고, 차이점이 있다면 환노출형이냐 환헤지형이냐 차이입니다.

※ 위 두 상품은 미국주식을 포트폴리오로 구성하는 ETF로 원화 → 달러로 변경하여 미국 주식을 매수하고 배당금을 달러로 지급받아 달러 → 원화로 환전하여 ETF 매수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두 상품의 차이점에서 나오는 수익률의 변동성의 Keyword는 "환율"입니다.

두 상품 모두 같은 지수를 추종하니 동일하에 주가가 5% 상승했다는 가정하에 비교해 보겠습니다.

수익률은 같지만 주가가 상승함과 동시에 환율이 1000원 = 1$ → 1200원 = 1$로 200원 상승한다면, 당연히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면서 환노출 상품의 수익률이 더욱 올라가게 됩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해당 나라의 통화가치가 하락할 것으로 생각된다면 환율을 보호해 주는 환헤지 상품을 구매하고, 반대로 해당국의 성장/상승세가 뚜렷해 통화가치가 오를 것으로 기대하면 환노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 환위험 관리

 

신한자산운용에서 만든 SOL미국배당다우존스(H) 상품의 경우 환위험 관리를 선물 계약을 통해 해결함을 알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나와 있지는 않지만 보유 종목의 매도 포지션을 선물 계약을 통해 80%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위 글에 나와있는 것처럼 80% 수준 이상의 환헤지를 추구하기 때문에 무조건 적인 방어는 아님을 인지해주시면 됩니다.

 

※ 환헤지의 장/단점

● 장점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의 환율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없애는 것이기 때문에, 환율이 하락하면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을 방지

●단점

장점과 반대로 투자 국가의 통화 가치가 올라가는 경우 환차익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익기회가 상실

 

위에 글을 작성하면서 말씀드렸던 내용과 동일하지만 한 번 더 정리를 위해 장단점을 적어봤습니다.

 

국내 ETF 상품이 타 국가의 지수를 추종하며 해당 종목을 보유하는 경우 원화로 한국 증권소에서 거래되지만,

실제 ETF 구성종목은 타 국가의 통화로 환전하여 매수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이기 때문에 환율의 등락에 따라 수익과 손실의 값이 변할 수 있음을 아시고 이에 따라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