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주] 한국판 SCHD? 배당성장 ETF SCHD

2024. 3. 5. 20:10ETF

반응형

 

HI~

 

제가 작성한 배당주 포스팅을 보시면 한국판 SCHD라는 말이 나옵니다 여기서 SCHD란 무엇인가에 대해 간단하게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 SHCD ETF란?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의 줄임말로 Schwab사가 운용하는 상품이며 미국 시장의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기초자산으로 추종하며 재무 비율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배당을 상승시킨 배당성장 위주의 기업에 투자합니다(통칭 : 슈드)

→ Schwab(Charles Schwab Corporation)은 미국의 금융회사이며 창업주인 찰스 R. 슈왑의 이름에서 회사명이 나왔습니다 하여 보통 찰스 슈왑이나 슈왑이라는 말은 같은 회사를 지칭합니다

 

※ SCHD ETF 개요

출처 : 야후 파이낸스

 

2011년 10월 20일에 상장했으며 총 보수 0.06%, 순자산은 $ 52.17B입니다 

순자산이 한화로 약 70조 정도이며, 솔미당이 4300억으로 상장일이 12년가량 차이가 나긴 하지만 어마어마한 규모차이입니다.

 

수익률은 3.49%이며 연초에 매수하여 지금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3월 기준 현재 수익률은 2.97%입니다.

배당 구분은 분기 배당으로 3월, 6월, 9월, 12월에 각각 1차례 식 연간 총 4차례 배당을 합니다

2023년 1년간 지급한 주당 배당률은 약 2.6$정도로 평균 0.65$를 분기 배당으로 지급한 것 같네요.

 

연 배당률이 3.49%면 한국은행 기준 금리 3.5%와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현재 강달러로 인한 환율이 높기 때문에 직접 투자하실 때는 해당일의 환율을 따져보셔야 하고, 기본적으로 배당주로부터 얻는 배당금은 배당 소득세라고 해서 15.4%를 제하고 들어오게 됩니다

 

ISA 계좌를 통한 비과세 배당 수익이나 SCHD를 통한 달러 배당 수입의 비교와 같은 부분과 위에 말씀드린 기준 금리와의 비교, 환율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추가하여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최근 3개월 차트

출처 : 야후 파이낸스

 

3M 차트를 확인했을 때 3월 5일 금일 기준으로 78.39$로 거래 중이며 24년 1월 2일에는 76.69$로 약 2$가량 상승했습니다.

 

※ 포트폴리오 보유 종목

 

출처 : 야후파이낸스

 

포트폴리오 내 보유 종목 상위 10개를 확인했을 때 솔미당이나 타미당과 같은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크게 다르지는 않은 모습입니다. 

 

하지만 SHCD ETF는 다우존스 지수 내에서 종목의 비중을 판단할 때 여러 가지 까다로운 조건을 통해서 해당 조건에 만족하는 종목의 비중을 높이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함을 알 수 있고, 규모의 경제라고 순자산 보유액의 규모 자체가 다르니 보유 %가 같다고 해도 아마 개당 주식수는 크게 차이 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SHCD라는 ETF는 사실 한국판 SCHD인 다우존스 삼 형제랑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게 작성해 봤습니다.

 

요약하자면 SHCD는 배당주를 묶은 ETF 상품이며 분기 배당을 실시하고 까다로운 조건을 통해 큰 이슈 없이 장기적 우상향에 대한 시그널을 주는 종목으로 포트폴리오 비중을 준다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CHD에 대한 포스팅은 마무리하며 ETF에 대한 포스팅도 있고 솔미당 타미당에 대한 글도 블로그에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배당주와 ETF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https://himyong.tistory.com/17

 

ETF란 무엇인가? ETF의 뜻

HI~ 제가 작성하는 배당주는 대부분 ETF로 구성되어 있는데 오늘은 이 ETF가 무엇인가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 ETF란 무엇인가? ETF(Exchange Traded Fund)는 말 그대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

himyong.tistory.com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