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국내 채권 ETF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

2024. 6. 23. 19:08ETF

반응형

 

HI~

 

지난번에 동일한 국내 채권 ETF ACE 미국 30년 국채액티브(H)와 이외 2621, TLT에 대한 글을 작성했었습니다.

 

오늘은 환헷지가 아닌 환노출형 상품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금리 인하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고(연초부터 가능성만 보여주고 있긴합니다..ㅎㅎ), 환율이 높은 상태에서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환율이 내려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게 기본적입니다.

 

이럴 때 환헷지 상품을 가지고 계신다면, 환율로 인한 시세 차익을 가져가실 수 있지만 의외로 환헷지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상당합니다.

이 비용은 수수료로 들어가서 약간 높은 수수료를 유지하는게 환헷지 상품의 특징이고요!

 

그렇기 때문에 오늘은 TLT ETF의 국내판 환노출형 상품 ACE 미국 30년 국채액티브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 ACE 미국 30년 국채액티브(H) ETF 기초 정보

상장일 : 2024년 03월 12일

기초지수 :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시가총액 : 239 억
순자산총액 : 239 억

주당 현재가 : 10,385

실부담비율 : 연 0.1058 %
운용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올해 3월에 신규 상장을 했고, Bloomberg US Treasury 20+ Year Total Return Index 지수를 추종합니다!

만기 약 30년 수준의 미국 장기채를 기초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으며, 순자산총액은 239억입니다

 

환헷지 상품의 시총이 1조 2천억임을 감한하면 상당히 귀여운 수치의 시가총액입니다 ㅎㅎ

 

※ 주가 차트

상장 이후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가, 지난 5월 금리 인하의 시그널이 본격적으로 나오면서 그 기대에 힘입어 상승한 것 같은 모습을 보여줍니다.

 

수익률은 상장이후 대비 4.61%이고 실제로 금리가 인하하게 된다면 조금 더 가파른 상승을 보여줄 것 같네요!

 

※ 구성종목

 

달러 예금비중이 가장 크고 TLT에 대한 비중이 25%입니다.

달러 예금과 TLT를 합산하면 58% 수준이고 그 외엔 실제 미국 장기채와 TMF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원화현금과 TMF 사이 T2, T3 하는 상품들은 미국 장기채인지 외환 SWAP인지 확실하게 알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외환 SWAP형태로 채권을 구매한 것 같기도 하지만 일단 양식이 채권과 유사해서 채권이라 적었습니다

 

달러 예금비중이 상당히 높은데, 아직은 시기가 아닌 걸까 하는 생각도 들게 하는 포트폴리오입니다.

물론 TLT 비중이 높긴 하지만, 전체 시총으로 볼 때 50억 수준으로 환헷지 상품과 크게 차이나네요!

 

※ 배당금

 

해당 종목은 월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배당금은 각각 4월 36원, 5월 26월이었습니다!

한 달 사이에 배당의 Gap이 상당하게 내려갔네요 ㅋㅋ 주가는 상승했는데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싶습니다.

채권시장도 현재 미래를 예측하기는 약간 어렵습니다 23년 말부터 24년에는 금리 인하가 진행될 것이다!

라고 외치던 각종 뉴스들은 여전히 금리 인하의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벌써 연중 반이 지나고 있습니다.

 

미국의 고용지표나 물가지수와 같은 연준에서 제시한 금리 인하의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5월부터 6월까지는 예상치를 하회하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정말로 인하할 시점이 아니냐고 하는 의견이 강해진 상태입니다.

 

하지만 미국 경제가 다시 두 달간 든든하게 버텨준다면 또 미뤄질지도 모르는 일이지요!

 

ACE 미국 30년 국채액티브 상품의 환노출/헷지의 수수료 차이는 2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수수료로 인한 차이점도 확인하시면서 본인에게 맞는 걸 구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