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2024. 4. 22. 20:57ETF

반응형

 

HI~

 

지난 2월 27일에 KBSTAR 글로벌리얼티인컴 ETF에 관한 글을 작성했습니다.

 

https://himyong.tistory.com/16

 

[배당주] KBSTAR 글로벌리얼티인컴 신규 상장 월배당 ETF에 대해 알아보기

HI~ 오늘은 지난 2024년 2월 20일 신규 상장한 월배당 글로벌리얼티인컴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리얼티인컴이라는 기업에 대해 아시는 분이 계실까 싶습니다. 미국 뉴욕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himyong.tistory.com

 

당시에는 신규 상장으로 해당 ETF에 관해 작성했고, 오늘은 동일하게 리츠 관련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에 대해 작성해 보겠습니다.

 

※리츠(REITs)의 의미

부동산에 투자하여 이익금의 대부분을 투자자들에게 분배하는 특수목적회사, 또는 관련 투자신탁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부산동투자신탁(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의 영문 약칭인 리츠(REITs)로 부른다.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데이터센터, 물류창고, 통신탑, 인프라, 주거, 의료시설, 오피스, 상업시설, 호텔·리조트와 같은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상업적 수익을 분배금(배당) 형식을 통해 나눠주는 기업이나 주식입니다.

 

◎ 전 세계적으로 호텔 하면 힐튼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힐튼과 같은 대부분의 호텔은 사실은 소유보다는 운영에 특화된 형태로 소유는 리츠회사와 같은 방식으로 소유와 운영이 분리된 형태가 대부분입니다.

 

주식 상장이나 직접 투자신탁회사를 창업하여, 주식 판매나 투자를 통해 상업적 건물을 매입하고 이에 따른 수익을 나눠주는 회사이지만, 국내 중소형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리츠는 내부 비리가 터지는 경우가 빈번하니, 투자하실 생각이시라면 메이저 자산운용사의 리츠에 투자하는 게 좋습니다.

 

리츠 섹터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이 끝났으니,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기초 정보

상장일 : 2019년 07월 19일
기초지수 : FnGuide 리츠부동산인프라
순자산 총액 : 4,135억 원
주당 현재가 : 4,385
총보수율 : 연 0.08% / 실부담비용 : 0.1424%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구성종목

@미래에셋자산운용

 

맥쿼리인프라가 구성종목 1등이며 그 아래로 리츠로 상장된 기업의 주식이 쭉 나열된 상태입니다.

 

맥쿼리인프라에 대해서 KBSTAR 포스팅에서 어떠한 회사인지 대략적으로 작성했었고, 대표적으로 인천 공항으로 가는 다리를 소유하고 있는 이 기업은 놀랍게도 리츠 기업이 아닙니다.

 

맥쿼리인프라는 리츠가 아니라 인프라투자신탁(InvIT)이며, 한국증권거래소 기준 금융업입니다!!!

또한 한국리츠협회에도 맥쿼리인프라는 회원사 목록에 없는 상태입니다만, 국내 인프라 관련주는 맥쿼리인프라가 유일하고 리츠와 특징들도 비슷하기 때문에 많이들 혼용해서 취급합니다.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으며 국내에 상장된 주식으로는 유일하고,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인프라 자산들도 탄탄하기에 많은 분들이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지만 무언가 추가적인 인프라를 소유하는 데 있어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줘서 지금 보는 미래 전망은 알 수 없어 보입니다..

 

 

※ 분배금 

@미래에셋자산운용

 

분배금 지급 현황을 확인해 보면 8~48원으로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22년까지는 분기배당을 실시하다가 23년에 월배당으로 전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아래는 23년 1월 이후 분배금입니다.

2023-05-31 2023-06-02 10 10
2023-04-28 2023-05-03 45 45
2023-03-31 2023-04-04 48 48
2023-02-28 2023-03-03 40 40
2023-01-31 2023-02-02 10 10

 

흐음.. 23년과 24년을 비교했을 때 1~3월의 분배금이 놀라울 정도로 똑같습니다.

4월 분배금까지 한번 확인해 본 다음에 천천히 진입하는 것도 좋을 것 같은 느낌이며 2023년 연간 분배금은 311원으로

4000~4500원 사이쯤으로 계산했을 때 7% 정도 수준으로 계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연간 분배율이 7%면은 금리 최고 시절 3 금융권 예금만큼 주는 것 같네요 ㅎㅎ 

 

KBSTAR글로벌리얼티인컴과 간단하게 비교하자면 구성종목에서의 차이가 있습니다.

TIGER는 국내 리츠 관련 주를 포트폴리오로 구성하며, KB는 외국 기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순자산 총액은 TIGER 쪽이 4000억 원대로 12~13배 정도 높습니다.

 

금리 인하의 기대로 리츠섹터가 부각되는 것 같아서 시기에 맞춰서 한번 해당 ETF를 가져와봤습니다!

 

해당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